▲ 두날개선교회가 개최한 ‘합신 이대위 두날개 공청회에 대한 설명회’ 광경. |
사단법인 두날개선교회와 두날개네트워크 전국목회자협의회는 지난 4일 서울 연지동 여전도회관에서 ‘합신 이대위의 두날개 공청회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하고, 지난 5월 18일 예장합신측 총회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가 실시한 공청회의 문제점을 요목조목 지적했다.
이날 ‘두날개 공청회를 통해 드러난 예장합신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의 문제에 대한 분석’이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선 박기성 목사(예장합동 이대위 전문위원)는 “예장합신측 공청회는 비합법적이며 스스로 제언한 공정성을 저버린 공청회였다”고 주장했다.
박 목사는 “예장 합신측 이대위는 본인들이 필요한 것만 뽑아서 자의적으로 해석했다. 오히려 박모 목사는 ‘삼위일체 삼신론 이단’에 빠지는 등 스스로 이단의 길을 걷고 있다. 합신측 공청회는 합신 이대위의 수준을 그대로 드러낸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어느 집단이나 개인을 연구발표하려면 보다 더 철저해야 한다. 이런 공청회나 이단의 연구에서는 연역적 논리에 빠져서 상대방을 이단으로 몰지 말고 귀납적 논리로 분석하는 혜안이 있어야 한다. 더 이상 한국교회에 근거 없이 이단을 날조하는 악행을 범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김성곤 목사는 ‘합신 이대위 공청회에 대한 입장’ 발표에서 “저는 신학자가 아니라 목회자로서 ‘성경 외 불변하는 진리는 없다’라는 확신을 가지고, 저의 부족한 면이 지적될 때마다 언제든지 주저하지 않고 수정해 왔고 앞으로도 그렇게 할 것”이라면서 “제가 지금까지 가르쳐온 내용과 합신 이대위가 비판하는 내용에는 다소간의 차이도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김 목사는 이어 “두날개와 합신 이대위는 서로 적군이 아니라 아군으로서 힘을 함께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누구를 이단으로 규정하는 것만 이단연구가들이 해야 할 일은 아니라고 본다. 이단연구가들 자신도 논리적, 신학적 약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크게 멀리 보고 목회를 돕는 이단연구가들이 되어 주시기를 정중히 요청드린다”고 덧붙였다.
합신측 이대위와 두날개선교회간의 대립이 본격화되면서 올해 장로교 총회에서는 소위 ‘이단연구가’ 또는 ‘이단감별사’에 대한 논란이 주요 이슈로 부각될 전망이다. 김성곤 목사가 예장합동측에 속해 있어 교단간 문제로 비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예장합신은 지난해 99회 정기총회에서 두날개(풍성한교회 김성곤 목사)에 관한 조사보고 및 청원 건은 1년간 예의주시 한 후 차기 총회에서 최종 결론내리기로 한 바 있다. 예장합신은 지난해 ‘내사’에 해당하는 ‘연구’를 결의했지만 교단의 몇몇 이대위 위원들이 지난 5월 18일 무리하게 두날개선교회에 대한 공개공청회를 개최하면서 교단안팎에서 비판이 제기됐다. 이는 두날개선교회를 이단성 있는 단체로 오인하도록 기획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불러왔다.
심지어 공개공청회를 둘러싸고 예장합신 내부에서조차 논란이 됐다. 이 교단 총회치리협력위원회는 공청회에 앞서 “제99회 총회에서 결정한 대로 총회 사이비대책위원회의 두날개에 관한 조사 및 청원 건은 제100회 총회에서 보고하고, 공청회의 시행 여부는 제100회 총회의 결의에 따라 시행할 것”을 권면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권면에도 불구하고 몇몇 인사들은 이 공청회를 강행했다.
김성곤 목사가 소속한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측 총회도 이 공청회에 앞서 4월 13일자로 예장합신에 ‘본 교단 김성곤 목사에 대한 조사중지 요청 건’이란 제목으로 총회장 명의의 공문을 발송한 바 있다.
이 공문에서 예장합동은 “귀 총회(예장합신)가 타교단에 속한 회원의 신앙활동에 대하여 그 회원이 소속한 교단을 통해 우선적으로 해결하려는 정치적인 노력 없이, 타교단 회원의 신앙과 관련한 문제를 공개적으로 거론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한 처사”라며 “예장합신 교단은 본 교단 소속 김성곤 목사에 대한 조사를 즉각 중지해 주기를 바란다”고 요청했다.
이러한 문제는 예장합신 내부에서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의 몇몇 주동인물에 대한 치리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미 예장합신 정기총회 헌의안건으로 박모목사 등에 대한 치리문제가 상정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기독교한국신문, http://ck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555, (2015-09-05)